본문 바로가기

나는 결백하다 둘, 히치콕은 나에겐 통속적인 것이기도 하다. 히치콕 영화, 히치콕에 관한 정보는 포화상태일 정도로 그동안 축적해놓았던 영화적 문법을 비워내고 새로운 시점으로 보려고 한다. '나는 결백하다'를 수업시간에 서스펜스라는 장르를 토대로 진행되었는데 전혀 집중이 되질 않았다. 긴장감의 히치콕은 이제 나에겐 진부했던 것이다. 물론, 히치콕의 관객으로 하여금 긴장감을 유발시키는 수사적 문법은 매력적인건 분명하다. 어쨌든 한시간의 짧은 단상을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자. 인물구도와 사건에서 뻔한 긴장감의 미시적인 시각보다 멀리서 거시적으로 조망하고 싶은데 그 중 시대적 상황에 비추어 부르주아 계급의 조롱과 풍자, 그리고 죄의식에 관한 것이다. 이 영화에서 부르주아의 계급의식은 표상적인 미로 대변하는데 (형식만 있고 내용은 없.. 더보기
디지털 하나 information의 라틴어의 기원인 intioforma (in-진행, tio-행위, forma-형태)는 행위속에서 일정한 형태가 이루어져 가는 과정이라 한다. 정보 형성 과정에 인간은 참여하며 정보는 단순히 중립적인 대상이 아니라 전반적인 삶과 문화에 영향을 미치고 변화하게 된다. 이에 정보란 고정불변이 아닌 끊임없이 변화한고 인간은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속에서 인간으로 형성되어간다. 디지털은 0과 1의 수(bit) 신호화 시켜 정보를 주고받는다. 아날로그는 연속적인 신호로 (전압, 전류, 파장 등) 정보를 소통한다. 예컨대 사람의 목소리는 성대에서 음파가 나와 공기의 울림을 거쳐 귀에 전달된다. 소리를 듣는 청자는 공기의 파장으로 전달되어진 정보를 해석한다. 반면에 디지털은 비트로 사운드를 변환해 .. 더보기
나는 결백하다 하나, 보여짐과 보여지지 않음으로의 긴장감 프랑스를 사랑한다면 당신의 인생을 사랑하게 될 것이다. 이 영화는 프랑스 니스를 배경으로 매혹적인 영상과 공간감을 가져다 준다. 카오스이면서도 코스모스적인 무질서의 질서와도 같은 빼곡한 건물과 도로, 깎아지는 절벽 아래에 드넓은 바다가 펼쳐지면서 히치콕의 안내하는 동선에 도취하게 된다. 배경에서 인물들과 사건들간에도 공간감이 이어지는데 이것은 공간과 공간 사이의 매개로 인해 히치콕 특유의 긴장감을 유발한다. 마치 '움직이는 이창' 같이 보여지는데 창과 문사이로의 보여짐과 보여지지 않음으로 해서 서스펜스가 일어난다. 로비의 집 시퀀스를 가만히 들여다보면 공간과 공간 사이의 문과 창으로 바라보고 보여지는 시점에 관음적인 요소가 들어가 있다. 관음이라는 요소가 관객은 화면에서 들어갔다 갑자기 빠져나오는 걸 반.. 더보기